반응형 전체 글695 공인중개사 민법 민사특별법 옳은 지문 알기 1 ~ 공인중개사 민법 민사특별법 옳은지문 알기 1 주택임대차보호법 1. 동법의 적용대상이 되는 주거용 건물인지는 실질용도에 따라 결정된다. 2. 임차주택이 미등기인 경우에는 주택임대차보호법이 적용된다. 3. 임차권은 상속인에게 상속될 수 있다. 4. 주택임차인의 대항력의 요건인 주민등록의 신고는 행정청에 도달하기만 하면 신고로서가 아니라 행정청이 수리한 경우에 비로소 신고의 효력이 발생한다. 5. 甲이 乙소유의 주택을 임차한 경우 임차인의 배우자나 자녀의 주민등록도 주택임대차보호법상의 대항요건인 주민등록에 해당한다. 6. 다가구용 단독주택의 임대차에서는 전입신고를 할 때 지번, 동, 호수의 표시가 없어도 대항력을 취득할 수 있다. 7. 다가구.. 2025. 2. 15. 공인중개사 민법 옳은지문 알기 14 ~ 공인중개사 민법 옳은지문 알기 14 물권법 8 1. 채무자는 상당한 담보를 제공하고 유치권의 소멸을 청구할 수 있다. 2. 동시이행항번권과 유치권이 동시에 성립한 경우 권리자는 이를 선택적으로 행사할 수 있다. 3. 물건의 인도청구소송에서 피고의 유치권항변이 인용된 경우, 법원은 그 물건에 관하여 생긴 채권의 변제와 상환으로 물건의 인도를 명할 수 있다. (원고일부승소판결 (상환이행판결)) 4. 저당권등기가 불법으로 말소되더라도 저당권은 소멸하지 않는다. 5. 저당권등기가 불법말소된 후 저당물이 경매되어 제3자에게 매각되었다면 말소된 저당권등기는 회복될 수 없다. 6. 1필지의 일부에 대해서는 저당권을 설정할 .. 2025. 2. 14. 공인중개사 민법 옳은지문 알기 13 ~ 공인중개사 민법 옳은지문 알기 13 물권법 7 1. 전세권의 존속기간을 약정하지 않은 때에는 각 당사자는 언제든지 상대방에 대하여 전세권의 소멸을 통고할 수 있고, 상대방이 이 통고를 받은 날부터 6월이 경과하면 전세권은 소멸한다. 2. 전세 목적물의 통상관리에 속한 수선의무는 전세권자에게 있다. 3. 전세권자는 특약이 없는 한 목적물의 현상을 유지하기 위해 지출한 필요비의 상환을 청구할 수 없다.4. 타인의 토지위에 건물을 신축한 자가 그 건물에 전세권을 설정한 경우, 전세권은 건물의 소유를 목적으로 하는 토지임차권에도 그 효력이 미친다. 5. 전세권을 목적으로 한 저당권은 전세권의 존속기간이 만료되면 그 전세권 자체에 대하.. 2025. 2. 13. 공인중개사 민법 옳은지문 알기 12 ~ 공인중개사 민법 옳은지문 알기 12 물권법 6 1. 법정지상권자는 그 지상권을 등기하지 않아도 지상권을 취득할 당시의 토지소유자로부터 토지를 양수한 제3자에게 대항할 수 있다. 2. 법정지상권의 지료에 관하여 토지소유자와 협의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당사자의 청구에의하여 법원이 이를 정한다. 3. 요역지와 승역지는 서로 인접할 필요가 없다. 4. 지역권은 존속기간에 관한 규정이 없다. 5. 지역권은 요역지와 분리하여 양도하거나 다른 권리의 목적으로 하지 못한다. 6. 지역권의 이전을 위해서 요역지 소유권이전등기 외에 지역권의 이전등기가 필요한 것은 아니다. 7. 지역권은 상속에 의해서 취득할 수 있다. 8. 지역권자에게 방해제거청구권과 방해예방청구권은인정되.. 2025. 2. 12. 공인중개사 민법 옳은지문 알기 11 ~ 공인중개사 민법 옳은지문 알기 11 물권법 5 1. 법정지상권자는 그 지상권을 등기하지 않아도 지상권을 취득할 당시의 토지소유자로부터 토지를 양수한 제3자에게 대항할 수 있다. 2. 법정지상권의 지료에 관하여 토지소유자와 협의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당사자의 청구에 의하여 법원이 이를 정한다. 3. 요역지와 승역지는 서로 인접할 필요가 없다. 4. 지역권은 존속기간에 관한 규정이 없다. 5. 지역권은 요역지와 분리하여 양도하거나 다른 권리의 목적으로 하지 못한다. 6. 지역권의 이전을 위해서 요역지 소유권이전등기 외에 지역권의 이전등기가 필요한 것은 아니다. 7. 지역권은 상속에 의해서 취득할 수 있다. 8. 지역권자에게 방해제거청구권과 방해예방청구권은 .. 2025. 2. 11. 이전 1 ··· 28 29 30 31 32 33 34 ··· 139 다음 반응형